top of page


위내시경 검사시 맹점에 대한 주의, 점막 관찰소견과 조직검사가 불일치 할때 이른 추적 검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내 굴곡을 고려하면 아래와 같이 직시상에서 시선과 평행하거나 굴곡에 가려보이는 곳이 있습니다. 병변이 그곳에 위치한다면 놓칠수 있게 됩니다. 검사의가 이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충분히 공간이 나오도록 공기를 주입후 소만의 위분분부에 내시경이 닿는...
2018년 10월 15일1분 분량
46


십이지장 궤양 천공에 의한 위십이지장 누공, 궤양 제발 방지를 위해 헬리코박터 제균이 필요합니다.
[Gastroduodenal fistula probably due to duodenal ulcer perforation, 십이지장 궤양 천공에 의한 위십이지장 누공] 위궤양이나 십이지장궤양이 깊으면 천공이 발생합니다. 간혹 위궤양이 깊어...
2018년 10월 15일1분 분량
32


검진 내시경때 위선종 발견 및 진단; 조기위암의 씨앗을 제거하는 중요한 검사
위의 양성종양으로 위선종, 이형성이 있습니다. 삼성병원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조직검사와 완전절제 조직과의 결과가 달라지기도 하는데 이는 조직검사가 일부만을 제거하여 관찰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조직검사에서 고등급의 선종은 절제하고 보면 약...
2018년 10월 10일1분 분량
78


소염진통제 유발 궤양, 위험인자를 고려하여 발생여부를 추적해야...
<소염진통제 궤양의 위험인자> 고령, 과거의 궤양 기왕력, 심장질환, 다른 항혈소판제와 같이 처방시, 스테로이드, 항응고제, 고용량일수록 부작용 증가, 장기간 복용 및 헬리코박터 감염 동반 유무 위험 인자가 없는 경우 장기간 복용하는 경우에...
2018년 10월 1일1분 분량
33


젊은 나이에서 위암 위험, 위험 인자로서 결절성 위염과 헬리코박터 감염
어제 오늘 sbs에서 젊은 나이에 발생하는 위암에 대한 방송이 있었습니다. 전체 위암 환자의 5%가 20대이며, 이중 전이성 위암의 위험도 20%로 다른 나이군에 비해 2배가량 높다는 이야기입니다. 또한 조직형이 종괴를 이루는 장형 위암보다는...
2018년 8월 31일1분 분량
134


당뇨 치료에서 임상적 관성 (clinical inertia), 유산 효과 (legacy effects) 를 고려하여 적극적 대응을...
우리나라 통계상 당뇨가 적정하게 조절되는 경우는 30%에 불과합니다. 누구의 문제일까요? 미국도 같은 문제 인식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상황이 있을 수 있습니다. https://www.medscape.com/viewarticle/896679?nl...
2018년 8월 30일1분 분량
71


급성 췌장염; 주로 술과 담석에 의하지만 매우 높은 고중성지방도 위험인자가 됩니다.
상복부 통증을 호소할 때 감별질환이 많습니다. 궤양, 담석증, 총담관석, 식중독, 간종양, 췌장염... 문진을 통해 대부분 감별을 하지만 검사로 확인이 필요하며 검사시 다른 질환이 발견되기도 합니다. 췌장염은 외래 진단에서 매우 드물지만...
2018년 8월 23일1분 분량
100


측방발육형용종과 대장암; 작은 크기로 제거하기 위해 정기적 선별검사가 필요합니다.
측방발육형용종, LST, lateral spreading tumor 는 10 mm 이상의 높이보다 옆으로 자라는 대장 용종을 지칭합니다. 표면의 모양이나 소구나 혈관 모양에 근거하여 심달도를 예측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점막하 절제술을 하거나...
2018년 8월 21일1분 분량
171


조갑백선, 발톱 무좀, tinea unguium, onycomycosis; 약제의 종류
진단에는 임상적 모양을 보고 판단하긴 하지만 검체 체취를 통한 균사검사 (KOH), 진균 배양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각 약제의 치료 효과는 아래와 같습니다만 성공율을 고려하였을 때 경구 terbinafine과 도포형 eficonazole이 가장...
2018년 8월 21일2분 분량
503


골밀도 검사 인정기준
골밀도검사의 인정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외의 경우에는 비급여 검사이며 폐경 후인 여성분의 진료시 상의하고 검사를 하고 있습니다. 가. 적응증 (1) 65세 이상의 여성과 70세 이상의 남성 (2) 고위험 요소가 1개 이상 있는 65세...
2018년 8월 20일1분 분량
188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