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Tags

Our Recent Posts

만성췌장염, 알콜성 간염, 제3형 당뇨 환자; 자의 중단했다가 재방문 - 동대문구 답십리, 전농동,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 작성자 사진: Byoung-Yeon Jun
    Byoung-Yeon Jun
  • 4일 전
  • 2분 분량

최종 수정일: 4일 전


상기 환자 1달 처방 이후 2달반뒤 내원 (약 2달 투약하지 않음)

과거에 급성췌장염 기록이 있는 **대학병원 췌담도 내과 진료는 진행되지 않음

식후 2시간30분 혈당 386

음주는 비슷하다고 하나... 25년1월 rGTP가 1237 (<-- 218, 24년 3월) 로서 신뢰가 가지 않으며..

1주일전부터 다리에 힘이 없고.. 다리가 붓더라?

; 고혈당 증상? 과거에 55~456까지 변동이 심할때 증상은 없었는데? 부종을 호소한적도 없었다.


아래와 같은 함요부종


부종에 대한 위험인자 혹은 구별해야할 상황으로서

1. 간질환 - 5개월전 초음파에 만성 췌장염은 있지만 (수년간 처음 관찰한 교과서적인 뚜렷한 소견들) 오히려 간은 혈액 수치에 비해 구조적으로는 지방간 이외에 특이하지 않았고.. 복수는 없었던 상태

2. 만성췌장염에 의한 흡수장애 (외분비기능) ..? 24년3월 알부민수치는 정상범위였다. --> 23년 췌장염에 의한 3형 당뇨로서 어느 시점에 내분비 기능도 급격히 변화가 있었으니... 가능성은?

3. 갑상선 기능을 확인한적이 없다.

4. 당뇨 신부전? 24년3월 시점에 미세단백뇨도 없던 경우로 ... 가능성은 낮아보인다.

인슐린 분비가 없으며 공복/식후 혈당 변동이 심해 (과거에 지속적으로 권유하였듯이) 우선 복합 인슐린으로 변경하여 용량 조절해보기로 하였다. 만성췌장염의 구조적 평가/숨어있을 수 있는 악성의 배제를 위해, 더불어 내분비내과에서 3형 당뇨에 대해 인슐린 펌프가 도움이 될지?에 대해 진료보도록 지속적으로 상급병원을 권장하고 있다. 상급병원에 가지 않았기 때문에 우선 복합인슐린, 이후 지속성, 속효성 따로따로 조절해 볼지의 여지는 남아 있다.

우선은 외래 혈당/가정 혈당 패턴 단기간 추적하다가 혈액평가를 해볼 계획

최근 만성 심방세동 및 방치한 고혈압의 결과로 인한 심부전, 말초부종

투약 후 혈압 정상화, 부종은 거의 없어졌으나.. 노작성 호흡곤란은 비슷

; 대학병원 부정맥 진료 예약 후 의뢰서 위해 내원하기로 하였는데 아직... 진행은 안되고 있다.


최근에 체중증가 와 부종? (edema vs. lipedema (살찐것) 가 애매한데..) 으로 내원했던 아시아계 외국인이 있었는데... 검사로는 설명 (간부전/신부전/심부전/갑상선저하/항진증, 단백뇨의 배제) 이 되지 않았다. 지방에서 와서 (전화문의시 지방 병원 방문하도록 권유하였었다. 재방문등 효율이 떨어지므로) 검사 후 재방문하지는 않았다. 안내문자에 설명할 이상소견은 없었다고 하였으나..

본인이 가지고 있다고 하는 다낭성난소증후군과의 연관성은? (이건 연관성이 강한지 판단이 되지 않으며) 혹시 쿠싱신드롬도 배제할 필요가 있는지 언급해주었다.

<AI 요약의 문제점>

AI는 여러 자료를 취합하여 그럴듯하게 알려주는데... 막상 참고 자료를 하나씩 읽어보면 의미가 다른 것을 보게된다. 다낭성난소증후관 부종의 관점에서 옆에 참고자료를 보면 밑에 2개는 대학병원 사이트인데 부종의 언급은 없다. 결국 첫 자료만을 참조한 것인데 nonprofessional medical site 라 너무 신뢰/무게를 두어서는 안되겠다.


보조식품과의 연관으로 추정... 다른 설명할 이상소견은 없었으며...

현재 혈압/당뇨 추적중으로 같은 증상/현상은 재발하고 있지 않다.



동대문구 답십리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건강검진 클리닉 내과 전문의 전병연



Comments


Copyrights ⓒ 우리안애 愛 내과, 건강증진센터 All Right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