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증상이 없는 지속되는 저알부빈혈증, 과거 후복막/장간막 림프절염에 의한? 단백상실성 장병증 의심 - 동대문구 답십리, 전농동,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상기 60대 중반 여자 2019년부터 본원에서 혈압약 시작한 분으로 ... 혈압약 반알에 변동이 심한편으로 CCB 1/2 알로 조절중 2019년 6월 혈액 검사후 심혈관 위험도를 고려하여 고지혈증약 투약하였으며 낮은 알부민, 총단백을 확인함 소변에 미세알부민뇨는 없음.

D1880003 Albumin 3.26 L 3.50-5.20 g/dL-

< Comment > 재검한 결과입니다.

D3002003 Microalbumin(ACR) 1.7 F: < 32.0 μg/mg creatinine-

D1840003 Total Protein 4.96 L 6.40-8.30 g/dL-

< Comment > 재검한 결과입니다.


2019년 7월 재검에서 같은 양상 다른 증상이 없어서... 임상적 해석이 필요.. 정상범주?? 로 생각함

D1880003 Albumin 3.24 L 3.50-5.20 g/dL 3.26 (기존 결과)

D1840003 Total Protein 4.94 L 6.40-8.30 g/dL 4.96

< Comment > 재검한 결과입니다.


2020년 6월 수치는 크게 변화없이 아래와 같다. 이 즈음 과거 초등학교때 림파선염으로 (목에?) 결핵약을 2번 복용한 기왕력을 확인함 당시 골밀도 검사에서 요추 부분에 보정하지 않으면 정상 수치가 나옴 vitD는 26.45 로 결핍이 심하지는 않았음.

D1880003 Albumin 3.39 L 3.50-5.20 g/dL 3.24

D3002003 Microalbumin(ACR) 1.9 이하 F: < 32.0 μg/mg creatinine 1.7

D1840003 Total Protein 5.12 L 6.40-8.30 g/dL 4.94


21년 봄 즈음 복부 통증으로 위내시경 시행 화생성 위염 이외 특이하지 않았으며 2차 병원에서 복부 CT 시행했는데 이상없다고 함 (결핵성 림프절염 흔적으로서 석회화는 보였을 것으로 생각됨) 이후 본원에서 복부 초음파 시행 2022년 9월

D1880003 Albumin 3.10 L 3.50-5.20 g/dL 3.39

D3002003 Microalbumin(ACR) 1.7 이하 F: < 32.0 μg/mg creatinine 1.9 이하

D1840003 Total Protein 4.96 L 6.40-8.30 g/dL 5.12

흉부 엑스레이에서 흉부 및 복부에 다수의 석회화된 림프절이 과거와 같이 관찰된다.


과거와 달리 복부에 림프절의 석회화를 최대한 제외하고 골밀도 평가를 하면 허리도 다리와 같이 골감소증 영역


과거에도 확인된 저단백혈증/저알부민혈증이었으나 원인에 대해 고찰해보면 과거 결핵성 림프절염 (그에 따른 후복강의 영향도?) 에 의한 림프압의 증가에 따른 소실을 고려할 수 있다.

부종은 없었으며 콜레스테롤 수치도 낮지는 않아서 오히려 심혈관위험을 고려 스타틴을 복용중임

과거 vitD도 약간의 결핍정도

; 뒤늦게 리뷰를 해보았으며 식이에 대한 상의를 해볼수 있겠다.

<단백상실성 장병증, protein-losing enteropathy>

; 장을 통한 지나친 혈중 단백질의 소실

다양한 질환에서 발생할 수 있다.

혈장 단백질의 소실은 점막 손상에 의한 염증성 삼출액으로의 유실; 위, 소장, 대장의 점막 손상에 의한 투과성 증가; 림프관에 압력 증가에서 발생할 수 있다.

증상은 매우 다양하며 기저질환에 의해 결정된다.

혈액검사에서 알부민, 글로불린, fibrinogen, 콜레스테롤, transferrin, ceruloplasmin등의 감소를 보일 수 있다.

소장의 질환이 있는 경우 지방용해서 비타민 결핍이 있을 수 있다.


다른 단백질 소실 (심한 단백뇨등..) 혹은 합성의 부족 (간질환) 이 없으면서 부종과 저알부민혈증이 있으면 의심해봐야 한다. 진단은 alpha-1 anttitrypsin clearance로 확인할 수 있다. --> 하루동안의 대변 전체를 보아야 하는 검사로 과거에 시행하는걸 들어본적도... 현제 실제 대학병원에서 시행하는지?? 정보가 없다. 의원에서 시행하기엔 힘든 검사가 된다.

단백소실성 장병증이 확인되면 원인이 되는 질환을 진단해야한다. 대부분의 경우 과거력, 신체검사, 혈액검사에서 진단을 성립할 수 있다. 초기 검사를 바탕으로 추가 검사를 결정해야한다.

단백소실성 장병증의 관리는 영양의 보충과 기저 질환의 치료이다. 식이 요법의 주된 방향은 저지방, 고단백, 중쇄 중성 지방 (medium-chain triglyceride) 식이가 된다.

The diet in patients with protein-losing gastroenteropathy should be low in long-chain fatty acids, generally present as long-chain triglycerides (LCTs). MCTs should be used to replace lipid calories. MCTs contain saturated fatty acids of 6 to 12 carbon atoms and are not re-esterified within the intestinal cell. MCTs bypass the enteric lymphatics and directly enter the portal system. It is believed that the reduction in intake of LCTs reduces lymphatic flow and pressure and decreases the quantity of lymph leakage. Various preparations of MCTs are commercially available; many contain caprylic acid (C8), capric acid (C10), and lauric acid (C12), and small amounts of fatty acids shorter than C8 and longer than C10.

The diet should also provide adequate supplies of essential polyunsaturated fatty acids. These are available in highest concentrations in flax seeds, walnuts, salmon, sardines, and soybeans, as well as in corn, canola, and safflower oils. 아마씨, 호두, 연어, 정어리, 대두... 옥수수유, 캐놀라유, 홍화유... In patients with fat-soluble vitamin deficiency these vitamins should be supplemented in water miscible or water soluble forms.

Protein requirements are increased in patients with protein-losing enteropathy to 1.5 to 3.0 g/kg ideal body weight/day in adults and 3 g/kg ideal body weight per da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diet can be supplemented by commercially available protein formulas. Isolated protein supplements (eg, Casec, ProMod) are a reliable source of fat-free dietary protein, but are expensive and may be unpalatable. Supplements that provide both protein and nonprotein calories (eg, Ensure, Isocal, Peptamen, and PediaSure) may be more palatable. Whey protein supplements can be added to skim milk or starchy foods to increase protein intake.

Serum protein levels (albumin, immunoglobulins, transferrin, alpha 1-antitrypsin) should be monitored regularly, and protein intake should be adjusted to bring these values as close to normal as possible. The percentage of patients in whom hypoalbuminemia can be corrected varies considerably and depends upon the type and severity of the underlying disease. In patients with severe erosive disease or intestinal dysmotility, when protein requirements can only be partially met by oral feeding and oral supplements, additional calories and protein can be delivered parenterally.

**단백상실성 장병증은 장누수증후군과는 다르다. 장누수증후군?은 아직 명확한 정립이 되지 않은 것이고... 건강방송과 기능의학에서 차용하는 유행어로 생각된다.**



알콜성 간염에 의한 저알부민혈증 및 부종/복수, 초기 알부민 2.4

알콜성 간경화, 초기 혈중 알부민 1.7, 총단백 6.5


신증구군 (단백뇨) 에 의한 저알부민혈증 및 부종, 초기 알부민 1.96, 총단백 4.38



위와 같은 신질환, 간질환 이외에 알부민 수치가 낮은 경우는 매우 드물다. 설령 어느정도의 섭취 저하 상태라 하더라도...

대학병원에 많은 심한 크론병에서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환자중에 유일하게 과거질환?으로 지속적으로 총단백/알부민 수치가 낮아서 원인에 대해 고찰하였다.

​​

동대문구 답십리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건강검진 클리닉 내과 전문의 전병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