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Tags

Our Recent Posts

아이는 성홍열, 엄마는 편도염, 가족간? 전파의 다른 모습 가능성 - 동대문구 답십리, 전농동,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 작성자 사진: Byoung-Yeon Jun
    Byoung-Yeon Jun
  • 11월 14일
  • 2분 분량

30대 초반 여자, 초진

한국말을 잘하는 비영어권 국가의 외국인

아이는 성홍열 이라는데.. 소아과에서 진료

목이 아프고... 따끔.. 그 이상?

주말에 몸살 --> 호전

일반약 먹었는데 얼굴이 빨개지고 부었다. (뺨부위만...)

성분은?

levofloxacin에 알레르기가 있다고 하며; 얼굴 붓고 숨쉬기도 힘든정도의 중대한

소염진통제중 loxoprofen에도.. 다른 소염진통제는 괜찮고..

구강을 관찰, 양측 편도에 삼출물의 확인 - 편도염 상태

ree

성홍열 - 소아과 질환으로...

1. 원인 병원체

 베타용혈성연쇄구균 (Group A β-hemolytic Streptococci)

2. 감염경로

 비말감염 또는 환자와 보균자의 분비물과 직접 접촉에 의한 전파, 드물게 식품을 통해서도 전파됨

 학교, 보육시설, 군대 등 단체 생활을 하는 경우 유행발생이 가능함

3. 발생시기

 일년 내내 발생할 수 있으며 늦은 겨울과 초봄에 호발함

 6세-12세에 주로 발생하며 이후 감소함

4. 임상양상

 잠복기 : 2-7일

 임상증상- 인두통에 동반되는 갑작스런 발열(39℃~40℃), 두통, 구토, 복통, 인두염 등을 보임- 심한 인후 충혈, 목에 생기는 붉은 반점, 딸기혀, 편도선이나 인두 후부에 점액 농성의 삼출액, 경부 림프절 종창 등을 보임- 1-2일 후 좁쌀 크기의 발진, 몸통의 상부에서 시작하여 팔다리로 퍼져나가는 선홍색의 작은 구진으로 손가락으로 누르면 퇴색하는 것이 특징적, 발진 후에는 겨드랑이, 손끝, 엉덩이, 손톱 등에서 피부 박 탈이 일어남- 혀는 처음에는 회백색으로 덮이고, 유두가 현저한 모양, 발병 후 2-3일이 지나면 유두가 붓고, 딸기 모양으로 도톨도톨한 새빨간 혀(딸기혀)가 됨

5. 진단

 인두도말, 혈액 검체에서 S. Pyogenes 분리 동정

 환자 : 성홍열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의사환자 :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성홍열이 의심되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6. 치료

 항생제 (Penicillin 또는 Amoxicillin)로 10일간 치료

 항생제 내성 - erythromycin에 대한 내성균주가 증가 추세- 감수성 약제로 치료하였을 경우 임상증상의 호전이 지연되는 경향을 보임

 항생제 치료 시작 후 24시간 동안 격리(표준주의, 비말주의, 등교중지 등)

7. 예방법

 개인위생, 기침예절을 철저히 지킨다.

 류마티스 열, 류마티스성 심장질환 과거력이 있는 경우 예방적 항생제 복용이 필요함

 현재 개발된 예방백신은 없음

무증상 보균자의 비율은 아래와 같이...

ree

모자간에 S. pyogenes 에 의한 다른 모습의 발생을 고려할 수 있겠다.

3일뒤 추적 방문; 약간의 증상.. 많이 호전

다시 관찰시 편도의 삼출물은 관찰되지 않으며...

추가 처방 후 종료함

편도염이 모두 박테리아 기원은 아니며, 임상적으로는 Centor score를 고려할수도 있다고 되어 있으나... 감?에 의한 처방을 할것이다. 소아과 영역에서 항원검사를 실제로 하는지는 모르겠으나 보험기준은 까다롭다 (게다가 위음성의 문제도 고려). 다른과에서 시행하는지는 모르겠다.

비슷한 맥락의 세균성 인후염의 판단.. 감?


감기.. 이라고 하더라도 남용이 되지 않도록...


약방의 감초? 이비인후과 들려 오는 사람들은... ~70~80%? 그냥 항생제 처방 받았다고 가정하고 시작


...

비슷한 시기에 같이 거주하는 자매에서 발생한 폐렴

상재균 (carrier) 로서 폐렴 구균을 가지고 있지 않았을지...



동대문구 답십리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건강검진 클리닉 내과 전문의 전병연




 
 
 

댓글


Copyrights ⓒ 우리안애 愛 내과, 건강증진센터 All Right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