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Tags

Our Recent Posts

심장 기원의 흉통 같은데, 안정형 협심증은 아닐때... 이형협심증? - 동대문구 답십리, 장안동,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 작성자 사진: Byoung-Yeon Jun
    Byoung-Yeon Jun
  • 7월 31일
  • 4분 분량

1. 30대 후반 남자, 초진

1주일 전부터 가끔 답답하다. 가끔씩.. 한두번... 막힌듯? 조이듯하면서..

팔이 저리다... 이번주에는.. 일반적인 보행정도의 상황에서

; 3~4번.. 10분 이상..

오늘은 일어나서도? 신경이 눌려서??

서있다가 일하다가 .. 조여오면서 왼쪽팔이 저리기도..

걸을때 괜찮고...

138/76 - 96/min

RHB s m

심전도 특이사항 없으며... ekg; RSR, 80/min

최근 다이어트 계란 2개, 감자 하나 1주일; 한끼만...

흡연+

하루에 15000보 걷는다..

23~24년 88 kg ... 중간에 다이어트 했다 안했다... 현재는 74 kg

r/o unstable? (불안정) or variant (이형) 가능성

중간에 증상시 응급실, 아니면 외래 예약하고

; 항혈소판제, 협심증약제 (nitrate) 처방, 의뢰서, 차트복사, 심전도

2. 50대 후반 남자

어제 아침에 출근하는데.. 쪼여오고.. 10분 이상.. 숨쉬기 힘들고 식은땀나고.. 지하철 타고 서 있는데...

 

과거에 5분/쪼이고.. 8~9년전; **대 CAG, echo등..

아버지가 협심증이 있어 시술을 받았는데 그 배경이 있어 걱정하는 모습

평소에 운동; 헬스장...

흡연 -

r/o variant??

; 협심증약제 (nitrate) 처방, 기존병원 추적 방문

...

1. 젊은데 비만에 흡연, 그렇게 힘들지 않는 상황에서의 의미있는 흉통, 흉통은 조이듯 하기도 하며 왼쪽팔로 방사통도 동반 (가끔 팔의 증상만으로 오는 경우도 있는데... 사람들이 찾아보면 협심증의 증상일 수 있다고하여... 주로 신경이 눌린게 아닐까? 실제적으로 협심증이라 생각되는데 동반되는 경우는 적은거 같다.)

(담배2갑 피는 고도비만 30대가 심근경색으로도 입원하기도 하며...)

불안정과 이형을 구별해야 하며 협심증 처방에 그 사이에 증상이 없을지도 관찰할 수 있으나 아래와 같이 확인하려면 상급병원 순환기내과 진료가 필요

2. 딱 한번의 증상, 서 있을 때 식은땀이 날 정도로...

오래전에 관상동맥 조영술 기왕력

가족력에 대한 걱정의 배경, 과거 조영술도 그 배경에서..

빈도는 단 한번인데 다시 확인할 필요는? 협심증 처방에 그 사이에 증상이 없을지? 빈도가 적어서 관찰할 수 있을지... 아래와 같이 확인하려면 상급병원, 과거 검사했던 순환기내과 진료가 필요

나이에 흉통의 모습에 따라 검사전 관상동맥 질환의 가능성은?

ree

Vasospastic angina is characterized by spontaneous episodes of angina in association with transient ischemic ST changes on the electrocardiogram (ECG). The cause is a transient, abrupt, and marked reduction in the luminal diameter of an epicardial coronary artery due to spasm, leading to transient myocardial ischemia. 아플때 심전도를 찍을 가능성이 낮다.

●Diagnostic criteria for vasospastic angina include: (1) nitrate-responsive angina, typically occurring at rest and often at night; (2) associated transient ischemic ST changes such as transient ST-segment elevation or depression; and (3) coronary artery spasm on angiography defined as >90 percent constriction. 보통 휴식할때와 저녁에 증상이 있는데 협심증약에 반응 (노작성, 안정성 협심증의 모습은 아닌), 흉통이 있을 때 심전도 변화 (확인하기 어려울 것이다.), 혈관조영술에서 혈관의 수축을 확인

●Patients with vasospastic angina typically present with a chronic pattern of episodes of chest pain, with each episode having many of the characteristics of angina seen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However, patients with vasospastic angina will report that their episodes are predominantly at rest (주로 휴식시) and that many occur from midnight to early morning (많은 경우 늦은 밤에서 이른 아침에). Each episode of rest pain generally lasts 5 to 15 minutes (5~15분가량 지속). Patients with vasospastic angina typically have ischemic ST-segment changes on an ECG during an episode of chest discomfort, which returns to baseline on symptom resolution. This finding can be detected on a 12-lead or ambulatory ECG.

●For most patients presenting with anginal chest pain (including those with episodes predominantly at rest) and no transient ischemic ST changes on ECG, we recommend an evaluation for fixed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prior to an evaluation directed at vasospastic angina. If significant fixed obstructive disease is reasonably excluded, the diagnosis of vasospastic angina can be pursued. This usually starts with ambulatory ECG monitoring. 심장기원이 의심되면 관상동맥 CT? 의심되지 않으면 수일간의 홀터?? 사이에 증상이 있으면 심전도 변화를 찾아본다... 이런 목적으로 처방을 내고 있는지 체감이 되지 않으며, 처방의가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판단해야 할 것이다.

●We recommend diagnostic coronary arteriography for most patients in whom the diagnosis is likely or secured (based on a typical history and findings of ST-segment elevation on ECG). 진단의 의심되거나 해야할 경우 (전형적인 임상적 모습과 증상시 (잡을 수 있을지) 심전도 변화가 있을 때) 진단적 혈관조영술을 권장한다.

●Arrhythmias and myocardial infarction are potentially life-threatening complications of vasospastic angina. 부정맥과 심근경색이 가능한 목숨을 위협하는 중대한 합병증

●Patients without obstructive coronary disease have a good long-term prognosis.

●Management of vasospastic angina includes cessation of smoking and pharmacologic therapy (especially the use of calcium channel blockers). For patients with vasospastic angina:

•We suggest initiating therapy with a calcium channel blocker (Grade 2C). All calcium channel blockers appear effective; we often start with diltiazem at a dose of 240 to 360 mg per day.

Higher doses can be utilized in patients with refractory spasm.

•We suggest the use of sublingual nitroglycerin to abort episodes of angina in an attempt to decrease the frequency of myocardial infarction and life-threatening arrhythmia associated with these episodes (Grade 2C).

•Long-acting nitrates may be useful in controlling angina symptoms but may not protect against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Nonselective beta blockers, such as propranolol should be avoided. In addition, aspirin should be used with caution, since at high doses it is an inhibitor of prostacyclin production.

마지막 페이지 질문 (syndrome x(microvascular angina), variant angina) 에 대해 교수님 두분이 주로 일본 기준에 따른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사례에 있듯이 임상적 모습이 전형적으로 맞지 않기도 하며, 결국 확인은 침습적인 혹은 상급병원의 영상의학적 검사가 필요한게 결론입니다.



동대문구 답십리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건강검진 클리닉 내과 전문의 전병연


 
 
 

댓글


Copyrights ⓒ 우리안애 愛 내과, 건강증진센터 All Right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