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방실차단, 혈압을 올렸던 이유였던가?!! 시간적으로 일치, 관련된 내용 - 동대문구 답십리, 전농동,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 Byoung-Yeon Jun
- 7월 18일
- 4분 분량
설명이 안되었던 난제!
상기 환자 이후...
25년 5월
전형적인 발가락 통풍으로 내원, 과거 간헐적 복용/처방했던 분으로 임성적 증상은 첫 관찰
병원 자동 혈압 159/59
"손녀가 혈압계 사왔는데.. 계속 에러가.." --> 혈압계 가져와보세요.
본인이 근처 **병원에 가서 혈압을 재봤다는데... 각각 다른 3일의 수축기 수치가 오른쪽/왼쪽 143/150, 135/145, 130/150 ... 그 병원 !자동!혈압계를 더 신뢰해야하는가?
3일뒤
"오늘 동사무소에서 우측 137/83, 좌측 136/62"라고 하며
병원 자동혈압 159/59, 맥박수 40? --> 이때 맥박수를 손목에서 다시 확인 54회로 괜찮다고 생각하고 지나감
가져온 가정혈압계로 진료실에서 167/58, 169/62
25년 6월
병원 자동 혈압 140/41
"동사무소에서 어제/그제 135였다.
진료실 혈압 140/42 (아래가 너무 낮다.)
; 설명은 못하겠는데 1년반이상 높던 혈압이 괜찮은건가??
25년 7월
"동사무소 혈압은 135~145"라고 하며
병원 자동 혈압 165/61, 맥박 35??
진료실 수동 혈압 178/50...
채혈실 다른 자동 혈압 153/59, 맥박 42?
"가정혈압계는 딸네 줬다. 집에서는 계속 오류가 떠서..."
; 추후 리뷰해보면 아래와 같이 어느 기간부터 서맥이 계속 있었는데 혈압 숫자에 밀려 인지되지 않다가 최근 5월에는 직접 맥박 측정한 적이 있다. 그리고 오늘은 심전도를 찍도록 설득?하여 아래와 같이 확인
맥박은 분당 31이며 p와 qrs가 1:1 처럼 보인다. ? 자리에 p wave는 보이지 않는데... 기계 판독은 완전 방실차단이나..

종이로 길게 찍어보면 qrs가 없는 p wave가 동일 간격으로 사이에 보이며 2:1 block으로 해석할 수 있다.

2019년

다시 혈압/맥막의 바이탈 사인을 리뷰해보니 높은 혈압에 눈이 가려 넘어갔던 현상이 들어온다. 그래도, 수동 혈압 측정시 맥막이 느린데? 느렸지... 라는 생각은 있었었다.
변동이 있을 시점, 혹은 낌새가 있던 시점은 23년 4월이었겠는데... 혈압측정시 느껴지기엔 2 beats 후 하나가 비는 느낌이었으니 기외수축인가? 하였으나 3:1 block 이었을 가능성도... 당시 심전도 확인하자 하였으나 거부하여 (연세가 많다보면 다들 그런 경향이 있다.) 넘어갔고... 6월엔 불규칙하게 느껴지기도 했으나.. 확인에 응하지 않기 때문에 맥박의 관점은 관심에서 멀어지는데, 갑자기 혈압이 올라가는 현상이 11월 부터 있었고, 맥박은 눈에 잘 들어오지 않았다.

23년 8월 40대 초반이 잠깐 있었으나.. 연속/지속적으로 서맥이 있었던건 23년 11월로 보인다.

시간적 연관성은 명확해 보이는데 서맥 때문에 혈압이 올라간다? 일반적 내용도 아니고 본적도, 생각해본적도 없는 상황
아래 내용에도 있듯이 보고가 잘되고 있지 않은 임상적 상황이며 잘 설명/설득하여 심박동기 시술을 받도록 기존에 한번 신장내과로 방문하고 왔던 **대학교 병원 순환기내과로 안내할 계획이다.
24년7월
보내고자 하는 **대학교 부정맥 교수가 지인인데... 이 환자를 잠시 상의하였다. 대화중 질문에 대답하진 않았으나 그 위치의 부정맥 세부전문의의 경험이면 이 패턴을 알것으로 생각된다. 아래 리뷰 논문이 있듯이... 비록 보고가 잘되지 않는 임상적 상황이라 하더라도!
An Unexpected Cause of Severe Hypertension and Bradycardia: The Role of Hemodynamic Assessment by Echocardiography
bradycardia-induced hypertension; increased left ventricular filling secondary to bradycardia and prolonged diastole, leading to greater ventricular stretch, increased contractile force and greater stroke volume (Frank-Starling mechanism), which subsequently caused elevated systolic blood pressure (BP), low diastolic BP and a wide pulse pressure. 서맥과 길어진 이완기에 의해 좌심실 충만이 길어지고, 그에 따라 심실이 늘어나고 수축력/박출량이 증가한다. 그 결과로 수축기 혈압은 상상, 이완기 혈압은 낮아지고 맥압이 넓어진다.
Treating the bradycardia by pacing led to an immediate and substantial BP reduction, 페이싱 이후 곧, 의미있는 혈압 저하를 보였고, although complete BP normalization had a slower time course and was probably due to the concomitant effect of the antihypertensive treatment initiation 혈압약도 사용하긴 하였으나. This pathophysiological mechanism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the literature 이런 병태생리학적 메커니즘은 주목받지 못했었다.
Review Article, Volume 2, Issue 11
Bradycardia Concomitant with Hypertension
The elevated blood pressure is there an adaptation of the organism to the unfavorable changes in the circulation. Chronic bradycardia is necessary for elevated blood pressure to occur. In the case of a sudden fall of HR, i.e. an acute heart block, it may result in a cardiogenic shock leading to death before the adaptation mechanisms can restore the equilibrium. 갑자기 발생하면 혈압이 떨어지고 사망할수도 있겠으나, 만성화되면 적응하기 위해 혈압이 올라갈수 있다.
Complete heart block is the most prevalent in literature reason to hypertension due to bradycardia, but still there are only a few descriptions in literature, including only 5 case reports [17,29-32]. 단지 5개의 케이스 보고만...
All participants exhibited bradycardia (HR 39-52) and presented with symptoms of resistant hypertension (모두가 저항성 고혈압), including headache, paresthesia, dyspnea, and peripheral edema.
Various types of blocks were identified, including Atrioventricular (AV) dissociation, 2:1 AV block accompanied by right bundle branch block, and complete heart block. 여러 종류의 차단
심박동기 삽입, Permanent pacemaker implantation due to heart block is indicated in third-degree or second-degree type 2 or 2:1 block. An indication is also atrial arrhythmia, irrespective of symptoms, with third- or high-degree AV block, especially with high-risk conditions [34]. In the situation of hypertension secondary to bradycardia artificial pacing contributes to BP lowering by decreasing time of diastolic filling and restoring atrioventricular synchrony.
The hypertension secondary to bradycardia is a common (서맥에 의한 고혈압은 흔하다), but under-reported clinical problem (그러나, 보고가 잘되고 있지 않은 임상적 문제). In this instance, the increased blood pressure is a reaction of the body to the decreased cardiac output caused by the bradycardia. The bradycardia must be chronic to permit the occurrence of hypertension 혈압이 올라가려면 서맥은 만성적이어야 한다.
...
이번 혈액검사에서 Cr이 1.78로 상승한 것, 혈소판이 100k 정도를 보였던 것이 의미있는 변화중 하나였다. 당뇨 3제 투약하면서 당화혈색소가 5.8로 낮은 편인데 신장기능과 같이해서 metformin은 중단 계획, 당화혈색소에 비해 식후 혈당은 200 중후반일때가 있어서 신장기능만 아니면 유지하려고 하였으나...
빈혈때문에 당화혈색소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겠지만 큰 차이는 아닐 것이며.. 혈색소는 이전과 같이 9점대
신장기능은 변화가 있는데 단백뇨는 660 mg/g으로 이전과 같이 2000을 넘지는 않으며....
동대문구 답십리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건강검진 클리닉 내과 전문의 전병연
#동대문구내과 #성동구내과 #광진구내과 #답십리역 #장안평역 #용답역 #청량리역 #신답역 #한양대역 #왕십리역 #답십리사거리 #촬영소사거리 #전농동사거리 #내과 #국가검진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갑상선초음파 #복부초음파 #경동맥초음파 #심장초음파 #암검진 #래미안위브아파트 #엘림스퀘어 #두산아파트 #동아아파트 #한양아파트 #동답한신아파트 #두산위브아파트 #힐스테이트청계아파트 #래미안미드카운티 #청솔우성 #래미안크레시티 #롯데캐슬노블레스 #e편안세상답십리아르테포레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