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Tags

Our Recent Posts

B형 항원, 항체 검사 신속진단 시약의 민감도에 문제가 있나?

약 90명의 잠복결핵 환자 혈액검사를 하면서

표면항원에 대한 항체 (HBsAb) 가 음성이며 핵심항체 (anti-HBc Ab, HBcIg Ab)도 음성인 환자중에 6명은 이전에 B형 간염 항체가 있었다고 하였고, HbsAb, HbsAg (표면항원) 두가지가 음성이면서 HbcIg Ab (핵심항체) 만이 양성인 사람이 9명이 있었다.

후자의 경우에는 잠복 B형 감염을 배제하기 위하여 HBeAg/Ab, HBV DNA를 검사하고 있다.

최근 전자중에 한명, 후자중에 2명에 대해 정량검사로서 표면항원에 대한 항체 검사를 하였는데 모두 항체 양성이 나왔다 (10 IU/L이상이면 양성인데 순서대로 25.1, 16.5, 176.4). 즉 전자중에 한명은 접종 후 항체 생성된 경우이고, 후자의 경우 과거 감염이 되는 것이다.





신속진단 시약에 대한 민감도의 신뢰성 문제라고 할 수 있다.

1. 표면항원, 표면항원항체 검사만 했을 경우에 항체가 위음성이 나온다면 불필요한 예방접종을 하게 될 것이고 (핵심항체 검사를 통한 과거 감염 구별이 필요하니 같이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2. 표면항원, 표면항원항체, 핵심항체 검사했을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잠복감염 검사를 하게 될 가능성이 많다.

대부분 다른 혈액검사를 포함하여 혈액체취를 하므로 신속진단 시약 (정성검사) 보다 검사실로 보내어 정량검사하는 것이 정확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B형간염 잠복감염 사례




B형 간염 유병율 및 항체 검사 조합에 따른 임상상황의 해석



동대문구 답십리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건강검진 클리닉 내과 전문의 전병연


ความคิดเห็น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