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Tags

Our Recent Posts

소염진통제 유발 궤양, 위험인자를 고려하여 발생여부를 추적해야...


<소염진통제 궤양의 위험인자> 고령, 과거의 궤양 기왕력, 심장질환, 다른 항혈소판제와 같이 처방시, 스테로이드, 항응고제, 고용량일수록 부작용 증가, 장기간 복용 및 헬리코박터 감염 동반 유무

위험 인자가 없는 경우 장기간 복용하는 경우에 0.4%에서만 부작용이 나타나기는 하나 여러 위험 인자를 가지는 경우 9%까지 높게 발생할수 있다.

다른 질환이 없음에도 복용 기간이 길거나 다수의 약제를 처방 받는 경우 아래와 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체적 점막 모습에서 헬리코박터 유무를 어느정도 판단할 수 있으나 배제위해 CLO 검사가 필요합니다. 양성일 경우는 치료를 하고 아래와 같이 음성임을 확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동대문구 답십리 우리안애 愛 내과, 건강증진센터 내과 전문의 전병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