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약 중지후 재투약하였으나 뇌경색 발생, 확율의 문제이나 위험인자 관리의 필요성
60대 초반 남자
1년 5개월전 초진
당시 진료실 혈압 148/90, 투약하고 있지 않았으며 "5년정도 혈압이 높았다."
흡연력 (-)
가족력 (-)
그리고, 내원하지 않다가 2개월전 내원, "허리시술로 정형외과 방문했는데 위에 혈압이 186이었다."
진료실 혈압 160/92
1가지 혈압약으로 투약 시작
20일뒤 재방문, 수일간 약제 복용하지 않고...
진료실 혈압 156/90
2가지 복합제 혈압약으로 증량하여 한달 처방, 한달뒤 고지혈증 및 혈액 평가를 계획함
1달뒤 내원
약 20일전에 대학병원 뇌경색으로 입원하였다고 하며
당시 증상은 오른쪽 힘이 없고 말이 어둔하고... 증상 발생 10일뒤 대학병원방문
현재는 증상이 많이 호전된 상태
내원시 혈압은 142/90
; 3제로 증량 위해 처방하니 대학병원 퇴원시 처방과 중복??
환자가 기존 혈압약을 2알 복용하고 있었단 해석이 가능한데... 대학병원의 섬세한 관리가 아쉽다.
뇌심혈관 위험인자 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체감할 수 있는 경우가 되겠다.
증상의 정도나 조절되지 않던 혈압과 관련하여 작은 범위의 lacunar infarct 가능성을 고려해본다.

https://www.health.harvard.edu/a_to_z/lacunar-stroke-a-to-z
80대 고령에서 나이 이외에 위험인자가 없었으나 발생한 뇌경색 사례 https://blog.naver.com/ejercicio/220966666069
5년간 방치한것도 있고 매우 높은 혈압 206/160 으로 내원했던 경우, 30대 젊은 남자
합병증으로 만성 신부전 상태
https://blog.naver.com/ejercicio/221831863313
20대때부터의 혈압을 방치, 여자로서 젋은 50대의 나이에 심근경색이 발생
https://blog.naver.com/ejercicio/220862799112
대학병원 퇴원시 약제가 누락되었던 경우
https://blog.naver.com/ejercicio/221298072874
동대문구 답십리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건강검진 클리닉 내과 전문의 전병연
#동대문구내과 #성동구내과 #광진구내과 #답십리내과 #장안동내과 #용답동내과 #청량리내과 #한양대역 #왕십리역 #답십리사거리 #촬영소사거리 #전농동내과 #내과 #건강검진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갑상선초음파 #복부초음파 #경동맥초음파 #심장초음파 #암검진 #래미안위브아파트 #엘림스퀘어 #두산아파트 #동아아파트 #한양아파트 #동답한신아파트 #두산위브아파트 #힐스테이트청계아파트 #래미안미드카운티 #청솔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