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중반 여자, 초진
성동구에서 지인 소개로 방문
이전에 내시경 하면 식도염, 위염이라고... ; 아주 깨끗하지 않으면 위염이라고 항상 기술될 것이며, 식도염은 남발되는 소견중에 하나로 이해하면서...
작년에 미식거려서 간간히 내과에서 투약했었고..
올해초에 구역감이 오래가더라. 한달
2일전부터 미식거리는게 다시...
임신가능성 아님을 확인하고
최근 복용하는 보조제나 특별한 음식은??
; 피부과약 복용중, 대학병원에서 rosacea (장미진, 주사) 에 대해서 미노신 (minocyclin), 4년간 계속
--> 간헐적 증상에 연관성이 있을 것인가? 아니면 그때그때 지나가는 증상일 것인가?
내시경을 위해 내원하였기에 시행
아래와 같이 점상으로 위축성? 변화가 보이는데... 검사 후 확인해보면 20대 후반에 헬리코박터 제균력
체부나 다른 부위를 관찰해 보면 현재 감염은 없어 보이며 이렇게 점처럼 변화가 있는 것만 보이는데, 이전에 모습이 림프결절성위염/닭살 위염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림프결절성 위염, 헬리코박터 감염의 모습중 하나
위 내시경 소견은 위축성 위염 정도이고 이 소견이 증상을 설명할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되며...
미노신과의 연관성도 일관적이지 않으나 (4년복용이나 작년부터라고 한다면)
증상적 처방과 함께 수일간 미노신 투약을 중지해보기로 하였다. 괜찮아져서 다시 복용하는데 비슷하다면?
A prolonged therapeutic dosage of minocycline up to 200 mg daily is considered safe and well tolerated. The majority of adverse effects, such as nausea and dizziness, typically manifest shortly after the administration of minocycline and tend to subside soon after discontinuing the medication. 장기 복용이 안전하고 참을만 한데... 주로 투약하고 얼마 안되어 구역감, 어지러움이 생기고 중단하면 1~2일뒤에 호전된다.
[Salt and pepper]
이선영 교수님의 명저 '위염의 내시경소견' 55쪽에 이런 언급이 있습니다. "H. pylori 감염이 지속되면 작은 결절들은 납작해지면서 희끗희끗한 소금 후추가루 양상 (salt-and-pepper)으로 변해간다. 흰 부분들이 뭉치면 점막하 혈관상이 투영되는 위축성 위염으로 보이기 시작한다." Lymphofollicular gastritis (= 결절성 위염) 이 오래되면 위축성 위염으로 변해가는데 그 과정에 salt and pepper 점막이 보인다는 것입니다. 아래와 같이 보입니다.

수 년 전 한 일본 연구(JGH Open 2018;2:80-86)에서 corpus white spots라고 언급한 부위도 이러한 소견을 말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Endoscopic appearance and pathological features of nodular gastritis. (a) and (b) are typical endoscopic images of nodular gastritis (NG). (a) An unusual miliary pattern resembling “gooseflesh” in the antrum. (b) Antral nodularity is highlighted with chromoendoscopy using indigo?carmine dye spraying. (c) A pathological finding of biopsy specimens from NG. Pathological findings from biopsy specimens are characterized by superficially located prominent lymphoid follicles with a germinal center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d) and (e) White spot aggregates in gastric corpus (corpus white spots: CWS) in a patient with NG. A striking result of this study was the link between CWS and risk of cancer development in patients with NG. The histological findings of CWS, examined via surgical specimens, included hyperplasia of lymphoid follicles with intense mucosal inflammation, similar to NG. Patients with NG and CWS have highly active inflammation of the corpus, which is implicated in the development of diffuse?type cancer. Consequently, the presence of CWS, observed during upper endoscopy for patients with NG, should be dutifully noted. Patients who display CWS should undergo urgent H. pylori eradication therapy. (JGH Open 2018;2:80-86)
한 연구에 따르면 헬리코박터 제균치료를 하지 않으면 "작은 과립형의 결절성 위염은 소금-후추가루 양상을 거쳐 위축성 위염으로 진행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큰 결절형은 불규칙한 점막의 융기로 구성된 화생성 위염으로 진행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Korean J Gastroenterol 2019)
Lymphofollicular gastritis (= 결절성 위염)과 salt and pepper 양상 위점막이 보이는 경우 헬리코박터를 검사하고 치료하시기 바랍니다.
동대문구 답십리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건강검진 클리닉 내과 전문의 전병연
#동대문구내과 #성동구내과 #광진구내과 #답십리역 #장안평역 #용답역 #청량리역 #신답역 #한양대역 #왕십리역 #답십리사거리 #촬영소사거리 #전농동사거리 #내과 #국가검진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갑상선초음파 #복부초음파 #경동맥초음파 #심장초음파 #암검진 #래미안위브아파트 #엘림스퀘어 #두산아파트 #동아아파트 #한양아파트 #동답한신아파트 #두산위브아파트 #힐스테이트청계아파트 #래미안미드카운티 #청솔우성 #래미안크레시티 #롯데캐슬노블레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