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의원 검사 CK (근육수치) 가 높다고 내원, 최근 시작한 운동력 확인, 크로스핏 - 동대문구 답십리, 전농동,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 Byoung-Yeon Jun
- 5월 15일
- 3분 분량
20대 초반 여자, 초진
두통때문에 신경과에서 혈액검사 후 방문
3~4일전 채혈한 CK 가 7000 이상의 수치
AST/ALT도 1.5 배 정도 경도로 상승
처음부터 운동력 확인
1달전부터 크로스핏!

크로스핏과 같은 고강도 운동에 의한 결과로 생각되어 설명 후 추적검사함, 운동은 3~4일전부터 중단한 상태
CK는 1/10로 감소한 정도
AST/ALT 도 정상범위에 가깝게 감소
D183000HZ | Total Bilirubin | 0.19 | | ≤ 1.20 mg/dL Newborn (full term) 24 hrs: 2.00-6.00 mg/dL 48 hrs: 6.00-7.00 mg/dL 3-5 days: 4.00-12.00 mg/dL | - |
D187000HZ | ALP | 99 | | F: 35-104 U/L | - |
D251001HZ | CK(Creatine kinase) | 727 | H | F : 26-192 U/L | - |
| < Comment > 재검한 결과입니다. | ||||
D186000HZ | AST(GOT) | 21 | | F : < 32 U/L | - |
D185000HZ | ALT(GPT) | 41 | H | F: < 33 U/L | - |
D189000HZ | γ- GTP | 12 | | F : 6-42 U/L | - |
신장기능은 변화없으며
D228000HZ | Creatinine | 0.63 | | F: 0.50-1.10 mg/dL | - |
근육기원이 의심되나 배제의 의미로서 바이러스 간염의 감염상태가 아님을 확인
D702001HZ | HBc Ab, Total | Negative (0.09) | | Negative < 1.00 Index | - |
D701500HZ | HBs Ag | Negative(0.30) | | Negative < 1.00 Index | - |
D701800HZ | HBs Ab | Negative(1.58) | | Negative < 10.00 IU/L | - |
D702600HZ | HCV Ab | Negative(0.11) | | Negative < 1.00 Index Positive ≥ 1.00 Index | - |
약 1주일전부터 헬쓰 시작
스키장 방문
AST/ALT 의 상승에서 문진 및 의심하여 CK확인
꾸준한 운동이지만 반복되는 낮은? 근육 손상이 반복되는 운동량으로 생각됨
...
크로스핏 2주
CK 22,000 이상, AST/ALT 648/198
운동을 중강도 이상? 하면 CK가 어느정도 상승할거 같은데 (정기적으로 한다면 아닐수도.. 갑자기 운동하면 누구나 근육통을 꽤 경험하게 되는데 그때는...)... 우연히 혈액검사를 하지 않는다면 알지 못하고 지나가는 것이고, 알 필요가 있는 것이 아닐수도 있다.
Muscle exercise stress does not regularly “increase CK levels to 500–600 U/L“ (1); in this respect, there is considerable interindividual variability 개인차가 있는데... The majority of competitive athletes have raised CK level in the blood (2) 경쟁적 스포츠인의 대부분에서 증가하는데.. In individual cases, CK levels may occur that are clearly above 1000 U/L (3) 1000이상으로도... However, some athletes show only moderate or no response (non-responders) (4). Regular preventative exercise with relatively constant muscular-mechanical stress is not often associated with CK increases 규칙적으로 비슷한 강도의 근육운동이라면 CK가 증가와 자주 연관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CK levels respond to marked changes in the amount and intensity of exercise. Thus, CK levels may increase significantly after unusual and eccentric types of exercise 평소와 달리 유별난? 형태의 운동을 한다면 CK가 매우 올라갈 것이다.. This primarily applies to strength and speed-strength exercise stress (4). Therefore, taking a thorough exercise history is important to resolve issues with differential diagnosis. A cut-off CK concentration of more than 4x upper limit of normal (ULN) is of little diagnostic value. One can only agree with the authors that patients with suspected exercise-induced CK increases should observe a training break of one week. Unfortunately, competitive athletes often find it quite impossible to do this.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904530/#:~:text=The%20majority%20of%20competitive%20athletes,quite%20impossible%20to%20do%20this.
Renal physiology and kidney injury during intense (CrossFit®) exercise
Beyond the anecdotal, robust literature on the physiological impact of HIT on renal function is currently limited. 고강도 운동이 신기능에 미치는 근거가 강한 문헌은 아직 제한
Intense (CrossFit®) exercise i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metabolic demands and alterations in parameters of renal physiology and function. The observed rise in both conventional and novel biomarkers of renal function following the workout Macho Man specifically might indicate a degree of transient subclinical functional impairment with CrossFit®-type training. 소규모 대상의 연구에서 일시적 무증상 신기능 저하를 시사하는데...
A single HIIRT session caused early and significant elevations in CK, myoglobin, SCr, microalbuminuria and urinary biomarkers indicative of kidney tubular injury, suggesting the occurrence of muscle and kidney damage. 한번의 운동후 관찰한 내용
고강도 운동이 신기능에 장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뚜렷한 근거문헌이 없어 보이며... (일반적인 운동의 좋은 효과는 신기능을 보호한다고 하지만)
따라서, 어느 정도의 CK 상승의 의미는? 충분히 기대되는 현상인데 꼭 확인해야할 사항이라고 할수도 없으며..
CK의 상승정도도 다양하여 갈색소변 (혈뇨와 같이) 이나 운동부위 부종과 같이 임상적으로 뚜렷한 횡문근육융해증 (이 단어로 정의할 이상 수치의 기준도 없다. 정상 수치는 아마도 통계적 분포) 정도도 있지만 무증상 수치 상승만 있는 경우도 있다. 모두가 같은 의미는 아닐 것이며...
규칙적으로 비슷한 강도의 운동을 유지하다보면 근육의 손상이 덜할 것인가? 이번 사례는 한달정도이나 규칙적인? 운동이 되어 가는데...
크로스핏이 정기적으로 하다보면 적응되는 운동강도가 될 것인가? (해본 경험에 비추어 보아..)
운동정도에 대한 지침을 주기엔 정보가 부족하여 적절히? 운동하도록 권고하였다. 트레이너의 전문영역이 되겠으니 결정을 전가할수 있으나 정보의 제한은 비슷할것 같다.
동대문구 답십리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건강검진 클리닉 내과 전문의 전병연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