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 환자 초음파 시행
갑상선 결절은 없었으며 (중독성 갑상선 결절을 배제하였으며)
전체적으로 거칠고 비대해져 있다.
협부 상부에 delphian node (prepharyngeal node) 가 2개 정도 관찰되며
협부는 8 mm, 우엽의 경우 25 mm 까지 비대해져 있다.
혈류 양상은 특이사항 없어 보이며...
자가항체는 음성
D3212013 TSH-R-Ab(ECLIA) Negative(0.94) (단위 : IU/L)
Negative ≤ 1.22
Grey zone 1.23-1.74
Positive ≥ 1.75
TSH수용체 항체의 측정은 그레이브스병 환자의 진단에 있어서는 TBII의 측정만으로도 일반적으로 충분하며 일부에서만 생물학적 검정을 통한 갑상선 자극항체의 활성이나 차단형 항체의 활성을 측정하게 된다. TSAb는 갑상선 중독증을 보이는 그레이브스병 환자의 약 95% 이상에서 발견되고 항갑상선제를 사용하는 그레이브스병 환자의 90%, 갑상선 기능이 정상화된 그레 이브스병 환자의 약 60%에서 확인된다.
참조> J Korean Thyroid Assoc Vol. 2, No. 2, November 2009
무통성 갑상선염의 경우 항진증 증상이 있을 수 있으나 경미한 경향이 있다. 상기 환자의 경우 혈액 수치 정도나 심한 증상, 뚜렷히 비대해진 갑상선 모습에서 그레이브스로 생각할 수 있으나 추후 경과상 갑상선염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항체검사를 재검해보겠으나 항갑상선약 시작 후 약제 감량과 유지 기간에 고려할 계획
동대문구 답십리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건강검진 클리닉 내과 전문의 전병연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