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체중 20대의 공복시내당증, 감소된 인슐린 분비능, 자가항체 양성; 늦은 1형 당뇨 혹은 LADA (지연성자가면역당뇨병) 이전단계?
https://blog.naver.com/ejercicio/222155974723
https://blog.naver.com/ejercicio/222228585050
상기 낮은 범위 정상체중 (BMI 체질량 지수 19) 의 20대 중반 여자 초진 이후 3개월 추적 검사, 자가항체, anti-GAD Ab, islet Ab 포함 3개월전과 같이 공복 혈당과 당화혈색소는 공복시 내당증 영역이며 인슐린 분비능은 조금 늘어보이나 51%에 해당하는 감소된 상태 Glucose 119 mg/dl, A1c 6.0 C-peptide 1.2 ng/ml HOMA2 %B 50.9 HOMA2 %S 103.9 HOMA2 IR 0.96 anti-GAD는 높은 수치의 양성 islet Ab는 음성
D3050013 C-peptide 1.20 1.10-4.40 ng/mL
D3022003 Glucose 119 H 70-100 미만 mg/dL
D3063003 Hemoglobin A1c****
HbA1c-NGSP 6.0
정상 ≤ 5.6 % 당뇨병전단계 5.7-6.4 % 당뇨 ≥ 6.5 %
D8031007 Anti GAD Ab 21.12 H (단위: U/mL) Negative < 1.00 Grey zone 1.00-1.99 Positive ≥ 2.00
D802200C Islet cell Ab Negative Negative
타원에서 2번에 걸쳐 공복혈당 127, 133 이었으나 본원 내원시 2번 모두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는 공복시 내당증 영역이며 마른에 가까운 정상체중에 젊은 나이라 시행한 자가항체에서 anti-GAD 항체가 높은 양성을 보여 추후 당뇨로 진행할 1형 당뇨 혹은 LADA (지연성 자가면역당뇨병) 전단계로 판단하는데 무리가 없겠다. 추적하면서 당뇨로 정의되면 치료를 고려

다양한 정의와 관련된 내용
Clinical Characteristics of ‘latent autoimmune diabetes in adults’ in Korea; 지연성 자가면역당뇨병의 임상적 특징
https://www.diabetes.or.kr/new_workshop/201601/upload/slide/20160514/S13-4_%C0%CC%BB%F3%BF%AD.pdf
http://nm.amc.seoul.kr/asan/depts/nm/K/bbsDetail.do?menuId=920&contentId=112157
동대문구 답십리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건강검진 클리닉 내과 전문의 전병연
#동대문구내과 #성동구내과 #광진구내과 #답십리내과 #장안동내과 #용답동내과 #청량리내과 #한양대역 #왕십리역 #답십리사거리 #촬영소사거리 #전농동내과 #내과 #건강검진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갑상선초음파 #복부초음파 #경동맥초음파 #심장초음파 #암검진 #래미안위브아파트 #엘림스퀘어 #두산아파트 #동아아파트 #한양아파트 #동답한신아파트 #두산위브아파트 #힐스테이트청계아파트 #래미안미드카운티 #청솔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