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Tags

Our Recent Posts

재발한 궤양, 궤양 예방을 위한 헬리코박터 제균을 확인했는가? 약방의 감초같은 그...

  • 작성자 사진: Byoung-Yeon Jun
    Byoung-Yeon Jun
  • 2020년 8월 23일
  • 2분 분량

70세 초반 여자 타 진료실 환자 3년전 궤양과 경이 있는 큰 용종으로 대학병원 전원 용종 절제술 시행했었음 (사진 아래 참조) 2월 말 아침 속쓰림으로 내원 (이 당시는 안정제없이... 아래 심평원 운영 지표 참조, 문진 다시 하면 쓰린 정도가 아니었을 듯) 3월 중순 내원 효과 없다고 하여 안정제 추가?? 이전에 (4개월전까지) 소화 증상있을 때마다 거의 동일한 처방으로 안정제를 포함하여 처방받아오고 있었다. 내시경 검사시 헬리코박터 양성 표재성 위염 소견에 상체부 후벽에 큰 궤양이 관찰된다.


3년전 내시경시

전정부 출구에 긴 경이 있는 2.5cm가량의 용종

check valve처럼 폐색 증상도 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음



상체부 전벽과 후벽에 각각 하나씩 궤양 소견



당시 조직검사 결과

[Diagnosis]

   A. Stomach, high body, anterior wall, endoscopic biopsy;

           Acute and chronic inflammation with ulcer and intestinal metaplasia

   B. Stomach, antrum, greater curvature, endoscopic biopsy;

           Low grade dysplasia and focal High grade dysplasia (고등급 이형성)

           --------------------------------------------------

[Note]

* Many bacilli (Helicobacter pylori) are noted;  Positive (+++) 헬리코박터 양성

* Clinical follow-up and more biopsy is recommended (as clinically indicated).


경이 있어 올가미를 걸어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병변으로 입원이 필요하니 대학병원에서 용종 절제술을 받았다.



이후 궤양에 대한 추적 검사는?? 본원 타 진료실에서 혈압약 추적, 궤양에 대한 언급은 없음 그렇다면 대학병원에서 궤양에 대한 추적 및 제균을 했을까? 기록이 없어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오늘의 상황을 봤을 때 양쪽 모두에서 누락, 무관심하지 않았나 추정해본다. 아래와 같이 누구에게는 규제, 심평원으로서는 개선을 위한 방침이 있다. -------------------------------------------------------------------------------------- 2016.12월 심사평가원, ’17년 지표연동자율개선제 운영 지표 공개 - 신설된 ‘벤조디아제핀계 약제 장기처방률’ 지표 등 6개 지표 운영 -

○ 또한 향정신성의약품 오남용을 예방하여 국민의 안전한 의료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 2016년 4/4분기부터 병․의원급을 대상으로 ‘65세 이상 벤조디아제핀계 약제 장기처방률’ 지표를 신설했다.

  - 국내외 여러 논문에서 벤조디아제핀계 약제 장기 사용 시 노인의 인지기능의 잠재적 약화로 인해 낙상·골절 등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으며,

  - OECD 분석결과(Health at a Glance 2015)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에 대한 벤조디아제핀계 약제 처방률이 OECD 국가 중 1위이고 평균보다 3.3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는 등 향정신성의약품 오남용 예방 필요성이 제기된 바 있다. -------------------------------------------------------------------------------------- 단, 65세 이상에서의 지표이므로, 약방의 감초처럼 안정제를 처방하는 진료 패턴은 지속될 것 같다. 또한, 장기처방에 걸리지 않을 정도의 처방은 계속될거 같다. 감기약으로 소화제로...


영업에서 입소문이 중요하지만 오래된 병원에서 왜 입소문이 났는지는 상기 처방의 남용도 하나의 설명이 될 수 있다.


동대문구 답십리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건강검진 클리닉 내과 전문의 전병연


 
 
 

Comments


Copyrights ⓒ 우리안애 愛 내과, 건강증진센터 All Right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