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Tags

Our Recent Posts

음주는 계속하나 복수가 생기지는 않는.. 언제까지?.. ; ; 혈관에 보이는 간문맥고혈압의 초음파 소견 - 동대문구 답십리, 전농동,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 작성자 사진: Byoung-Yeon Jun
    Byoung-Yeon Jun
  • 7월 1일
  • 3분 분량

상기 환자 음주는 지속하며

그때 그때 확인하지만... 정확한 음주량의 추정이 어려울때가 있고..

가장 최근엔 매일 장수막걸리 2병씩...

24년 6월 체중이 7 kg 빠지고.. 잠을 못자고.. 잘 안먹고... 누워있고.. 의욕도 없고...

이런 증상을 얘기하였으며

또한 가슴이 쿵쾅쿵쾅? 부정맥 증상이 더해졌으며...

; 약 한달간 위의 묘사 이상으로 컨디션이 저하되어 간이식 상담도 포함하여 상급병원 진료 보기로 하였는데...

**대 심장내과만 보고 증상적 투약만 받았다고 하며...

장기적 관리를 위한 간내과 진료는 진행되지 않았다.

8월; 두근거림은 없는데... 오래된 수면장애는 지속.. 하루 한끼 식사하고.. 반주로 같이하고..

11월; 기존 처방 한달로 2개월 복용

허리아파서? 넘어져서 머리 꼬매고.. **병원에서 간때문이라도 입원하라고 하였으나...

...

3개월 만에 방문

2달간 집밖에 못나갔다. 배달음식만 먹었다.

잠을 못잔다.

; 최근 아침에 혈당이 300까지.. 식후도 300 후반까지..

술은 똑같고...

인슐린 사용에 대한 상의, 기존에 부종으로 중단했던 pioglitazone 15 mg 다시 시작

한달뒤; 배달음식 안먹고...

공복 혈당이 200 내외.. 200 후반까지도...

붓는건 없으며..

한달이상 정형외과 주사 매주? ; 스테로이드 사용했을지도... 혈당에 영향...

3월 공복 203, 231

6월 간암검진위해 내원

잠을 못자서 식사를 하루에 한끼.. 약을 하루에 한번만 복용

전반적인 컨디션은 24년 같지는 않으며!

..

24년 6월에 간수치 패턴을 보면 그 당시 음주를 더 했을 것 같다. 그 당시 컨디션 저하의 원인인지 결과인지 ...

25년 검사 수치는 평균의 모습에 가깝다.


간문맥 고혈압 소견으로서 혈관의 변화가 과거와 같이 관찰된다.

hepatic arterial buffer response (간동맥완충반응)


재개통된 배꼽정맥


비장-후복강 측부혈관

절대적으로 비장이 크지 않으나... 체형에 비례할듯


6년간 초음파 소견은 비슷한데 언제라도 복수 등 발생해도 이상하지 않다.

원래 혈소판은 40 k ~ 80 k 사이에서 변하고

작년에 백혈구가 2000대까지 떨어졌으나 3000 후반의 모습

혈색소는 folic acid (2020년에는 복용하고 13까지 상승, 이후 중단했다고 다시 시작해도...) 복용 중에도 계속 떨어지는 모습이다. 알콜에 의한 골수억제? 혹은 비장에서 파괴...

D000201HZ

WBC

3.79

L

4.00-10.00 x(10)3/μL

2.21

D000204HZ

Hematocrit(Hct)

27.5

L

F : 37.0-47.0 %

28.4

D000207HZ

Platelet

78

L

130-400 ×(10)3/μL

57


< Comment >

재검한 결과입니다.


MCV

111.8

H

80.0-100.0 fL

107.2


MCH

34.6

H

27.0-34.0 pg

34.7


MCHC

30.9

L

32.0-36.0 g/dL

32.4

(D0002050)

Hemoglobin(Hb)(공단)

8.5

L

정상A 12.0-15.5 g/dL

정상B(경계) 10.0-11.9

질환의심 < 10.0

10.5

혈당은 191인데, 당화혈색소는 상대적으로 낮아 보인다. 최근 가정 혈당 패턴을 들어보았을때도..

적혈구 감소에 의한 A1c에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D3022)

Glucose(공단)

191

H

정상A < 100 mg/dL

정상B(경계) 100-125

질환의심 ≥ 126

124

D306300HZ

Hemoglobin A1c

**



**


HbA1c-NGSP

7.2

H

정상 ≤ 5.6 %

당뇨병전단계 5.7-6.4 %

당뇨 ≥ 6.5 %

6.4

A1c will be falsely decreased by 0.053% in male gender and 0.047% in female gender for each 1 g/dL decrement of Hgb. 0.2정도로 교정해도 7.4? 추적이 필요하다. 인슐린으로 넘어갈지...

위 주변의 정맥류


또다른 변화중에, 단백뇨가 증가하기 시작했다는 점... 당뇨와 연관된?

23년 5월

D3002003

Microalbumin(ACR)

20.8


F: < 32.0 μg/mg creatinine

39.6

23년 12월

D3002003

Microalbumin(ACR)

304.3

H

F: < 32.0 μg/mg creatinine

21.6

24년 6월, 총단백뇨로서 1500 mg/g에 상응하는...

D300200HZ

Microalbumin(ACR)

824.0

H

< 30.0 mg/g creatinine

304.3

그러나, 이번엔 1+였으며

spot UA 확인 예정 --> 519 mg/g 의 총단백으로 직전보다는 감소하였다.

보험코드

검사명

결과

L/H

참고치

이전결과

D184000HZ

Total Protein(RU)

58.7

H

< 15.0 mg/dL

-

D228000HZ

Creatinine(RU)

112.9


Not established (mg/dL)

-

​​


동대문구 답십리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건강검진 클리닉 내과 전문의 전병연



Comments


Copyrights ⓒ 우리안애 愛 내과, 건강증진센터 All Right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