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Tags

Our Recent Posts

불안, 초조를 주소를 지속적으로 호소한 빠른 심방세동, 폐부종 (심부전)

  • 작성자 사진: Byoung-Yeon Jun
    Byoung-Yeon Jun
  • 2021년 2월 8일
  • 2분 분량

70대 후반 남자 4일전 내원 기침 약간, 머리가 띵하다, 근육통 호소 1일전 내원 몸살 (우울감), 가끔 기침, 띵하다 멍하다, 불안하고 초조하다. 오늘 내원 "좀 괜찮은데? 저녁에 불안하고 초조 다리 팔도 나른하고 기운도 빠진다 (general weakness) 혈압 측정 후 맥박 확인 후 물어서 확인한 증상; 두근거림도 있다 (palpitation) 간병하는 처때문에 못자고 피곤하다." ; "그래서... 수액좀 맞으로 왔다." 어제 자동 혈압 137/88 - 88/min 맥박은 빠르지 않았다. 오늘 진료실 혈압 124/64 - 빠른 불규칙 리듬 우선 x-ray, 심전도 촬영하기로 함 심비대 (파란선) 에다가 나비모양으로 대칭적으로 양폐야에 폐부종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진을 확인하고 폐음 청진을 하니 양폐야 폐포음 (rale)

심전도에서 속도가 조절되지 않는 심방세동, 분당 145회


이전에는 치매 부인의 진료 위해 가끔 같이 방문하였으며,

2020년2월 초진시 아래와 같이 확인

과거 심혈관 조영술 기왕력(스텐트는 시술하지 않음), 대학병원에서 앤지비드서방정 40mg, 리리카, 자이로릭, 이토메드, 몰시톤 400mg, 크리드정, 아프로벨150mg, 코다론, 메바로친20mg 등 처방 받다가 본원에서 원하셨는데 특히 코다론의 경우 왜 처방되었는지 불분명하여 (심부전/심비대를 동반한 심방세동의 정율동을 위해 사용한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으나, 기침시 폐음 청진하였으나 맥박의 이상을 감지하지 못하였다. 약효에 의해 정율동 유지 상태였을지도..) 기존 병원에 방문하지 못한다면 타 상급병원을 권장하고 처방을 하지 않았었다.

그러나, 상기 시점의 최근 감기 진료시 확인하니 대학병원약 소진 후 약 1주일전 근처 소아과 전문의에게 처방을 받았다고 한다. 어떤 처방인지 확인되지 않았으나 과연 어떻게 처방했을까? --> 다음날 응급실 방문하지 않고 외래 재내원, 기존약제는 자의 처방 중지한 상태로 소아과에서는 비뇨기 증상, 수면제 처방 받은 것을 확인

약간의 감기 증상도 호소하였으나,

전신쇄약감, 불안 초조를 계속 호소하여 다른 원인을 의심하여 발견된 조절되지 않는 심방세동에 폐부종 (심부전) 사례가 된다. 원하던 수액 처방은 취소하고 응급실 경유 입원 권유하여 의뢰하였다. 심기능 평가, 심박수 조절, 항응고제 변경, 이뇨제를 통한 폐부종 조절이 최소한 필요하겠다.

불면증 두근거림을 정신과적 증상으로만으로 생각하여 정신과 다녔던 환자



동대문구 답십리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건강검진 클리닉 내과 전문의 전병연


Comments


Copyrights ⓒ 우리안애 愛 내과, 건강증진센터 All Right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