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의 고혈압이 겹친 본태성 고혈압? 판단까지 추적 및 투약 결정
- Byoung-Yeon Jun
- 2021년 2월 25일
- 1분 분량
40대 초반 여자
초진시 흉골 연골염 증상으로 내원
우상복부라 배재위한 복부 초음파 시행
진료시 혈압 164/95
"집에서는 140 초반이다."
; 가정혈압 측정하고 가져와보세요.
2개월뒤 내원
진료실 혈압 154/92
가정혈압 확인; 변동이 심함
; 2주뒤 가정 혈압 추적
혈압계 가져오세요.
한달뒤 내원
가정혈압계 180/115
진료실 혈압 176/104
다시 가정혈압계 172/113
작성한 가정혈압 확인; 130~160/85~110 --> 전반적으로 높은 경향
백의 고혈압이 겹친 본태성 고혈압으로 판단
3일뒤 검진
소변 단백뇨 1+, microalbumin (미세단백뇨) 86.4 mg/g으로 상승
2주뒤 대장용종 조직 결과 확인등 위해 내원
진료실 혈압 160/98
투약 권장하였으며 2주뒤 재방문하여 결정하기로 함
2개월뒤 방문
최근 가정 혈압 130 내외/90 내외로 이완기 혈압만 주로 높은 모습 (가정혈압 135/85를 기준으로)
진료실 혈압 180/102
; 가정혈압 범위가 바뀌긴 하지만 미세단백뇨등 신장 합병증이 있으며 기존 혈압 판단 (essential hypertension with white coat hypertension) 을 유지하여 투약하기로 결정함. 가정혈압계와 진료실 혈압계가 비슷한 것을 확인하였기에 가정혈압 기준으로 약제 반응을 평가할 계획
초진 이후 투약까지 5개월 동안 추적한 경우가 되겠다.

동대문구 답십리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건강검진 클리닉 내과 전문의 전병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