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Tags

Our Recent Posts

당뇨, 만성신부전 (CKD stage 3) 환자에서 하지 부종; 추가했던 경구 당뇨 약제가 원인 가능성

  • 작성자 사진: Byoung-Yeon Jun
    Byoung-Yeon Jun
  • 2021년 2월 18일
  • 1분 분량


초기 지속성 인슐린 20, 속효성 인슐린 아침 저녁 20-20 사용하면서 공복 200 초반 식후 300 이상이던 환자, 인슐린 제형 바꾸고, 경구약제 추가 후 ... 9월 중순 내원시 혈당은 아래와 같았다. 인슐린을 조금 줄여도 될듯 한데... 노보믹스30, 38-30 단위 사용중


9월 하순 방문

다리가 붓는다. 1주일

피부과 처방을 받고 있으나 진통제는 없다.

양측 하지를 눌러보았을 때 부종 확인

약제 변경후 2개월째로 당뇨 평가 계획이었으나 추가하여 부종관련 혈액검사도 시행함

뇌성타트륨펩타이드는 정상범위

D4062023 HBNP 54.88 ≤ 100.00 pg/mL


갑상선 저하증 소견 없었으며

D3230053 Free T4 (ECLIA) 1.28 0.74-1.80 ng/dL

D3250013 TSH (ECLIA) 2.54 0.27-5.07 μIU/mL


2달간의 평균으로 초기 모습도 반영되었기에 당화혈색소는 아직 7.4이나 혈당 패턴을 보았을 때 다음 검사에서는 6~6.5가 기대된다.

HbA1c-NGSP 7.4 H

정상 ≤ 5.6 %

당뇨병전단계 5.7-6.4 %

당뇨 ≥ 6.5 %


C-peptide 1.46 ng/ml

HOMA2 %B 76.9

HOMA2 %S 89.5

HOMA2 IR 1.12

단백뇨는 1000 mg/g 정도로 관찰되며

신장기능은 MDRD GFR 42 정도로 CKD stage 3에 해당한다. 기존과 Cr 수치 변화가 있는데 큰 변화로 해석하기에는 추적이 필요하다.

D2280003 Creatinine 1.81 H M: 0.70-1.30 mg/dL


기여하는 효과는 좋다고 생각되나 부종의 원인으로 2개월간 사용 중인 pioglitazone을 고려할 수 있고, 조절되는 정도를 보았을 때 DPP4 저해제만 유지하고 pioglitazone은 중지하고 관찰하기로 하였다.

외국 방문 예정으로 2개월 지나서 확인 가능할 예정



동대문구 답십리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건강검진 클리닉 내과 전문의 전병연


Comments


Copyrights ⓒ 우리안애 愛 내과, 건강증진센터 All Right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