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공무원 검진시 간수치 상승, 지방간에 의한? 다이어트약에 의한? 운동에 의한 근세포 파괴에 의한 (경도의 횡문근육증)?

공무원 검진 위해 내원 ; 간수치 상승 확인, AST가 좀더 높은 모습 음주는 주당 2~4병 소주 정도, 체질량 지수 30.3 의 비만

D1860003 AST(GOT) 177 H M : < 40 U/L

D1850003 ALT(GPT) 126 H M: < 41 U/L

D1890003 γ- GTP 81 H M : 10-71 U/L-

​ 다음날 추가 평가 위해 내원 경도의 지방간


B형 간염 접종 상태, C형 간염 항체 음성 확인

D7011013 HAV IgG Negative(0.07) Negative < 1.00 Index

D7020013 HBc Ab, Total Negative (0.05) Negative < 1.00 Index

D7015003 HBs Ag Negative(0.35) Negative < 1.00 Index

D7018003 HBs Ab Positive(65.72) Negative < 10.00 IU/L

D7026003 HCV Ab Negative(0.07) Negative < 1.00 Index Positive ≥ 1.00 Index-


다시 문진; 3주간 금주중 3주전부터 비타민, 밀크씨슬, 오메가3 다른 운동보조제는 복용하고 있지 않다. 3주전부터 개인 PT 받으면서 운동 시작 ​ 1년전 채용검진때 간수치 100 이상? ​ 주말동안 건강보조식품 중지하고 수치 추적하기로 함, 횡문근육증일때 올라가는 CK (creatine kinase) 같이 시행하기로 ​ 3일뒤 내원 가르시니아를 다이어트약으로 3주간 복용중 (드문 원인, rare cause 으로 간수치 상승을 일으킬 수 있다 정도의 배경 정보를 확인) 추적 검사; AST, ALT 모두 감소 한 모습, ALT가 이번엔 더 높아서 지방간에 의한 경도의 상승도 있지 않을지? CK가 정상의 5배 정도로 상승되어 있어 근육통등 호소하지 않으나 운동에 의한 근육세포 파괴에 의한 CK, AST/ALT 상승 가능으로 해석

D1830003 Total Bilirubin 0.82 ≤ 1.20 mg/dL D1870003 ALP 65 M : 40-130 U/L

D2510013 CK(Creatine kinase) 1590 H M : 39-308 U/L

< Comment > 재검한 결과입니다.

D1860003 AST(GOT) 47 H M : < 40 U/L

D1850003 ALT(GPT) 73 H M: < 41 U/L

D1890003γ- GTP 60 M : 10-71 U/L

​ 이후 운동정도를 조절하고 보조제 섭취 없이 추적 검사하기로 하였다. 지방간 중간에 국소적 지방간결여에 대해 6개월뒤 추적 초음파 계획 ​ ​ 심한 횡문근육증 https://blog.naver.com/ejercicio/221715994757



동대문구 답십리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건강검진 클리닉 내과 전문의 전병연


#동대문구내과 #성동구내과 #광진구내과 #답십리내과 #장안동내과 #용답동내과 #청량리내과 #한양대역 #왕십리역 #답십리사거리 #촬영소사거리 #전농동내과 #내과 #건강검진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갑상선초음파 #복부초음파 #경동맥초음파 #심장초음파 #암검진 #래미안위브아파트 #엘림스퀘어 #두산아파트 #동아아파트 #한양아파트 #동답한신아파트 #두산위브아파트 #힐스테이트청계아파트 #래미안미드카운티 #청솔우성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