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후반 남자
기저질환 없음
흡연 하지 않음.
내원 전날부터 갑자기 목이 아프기 시작했다. 왼쪽 목뒤부터 앞쪽까지
촉지에 의하면 동전 크기의 국소적 압통이 갑상선과 SCM 근육 사이에서 확인되었다.
병원 진료 마감에 가깝게 내원하여 초음파 시행하지 못하고 급성 림프절염에 준해 3일 투약 하고 재방문하기를 권장함
3일뒤 내원
증상은 50% 정도로 좋아졌다고 하나...
초음파 평가
갑상선에 종괴성 병변은 없었으며
왼쪽 림프절 관찰시 인지된 경동맥 내부의 변화, 내막이 두꺼워졌다?
위아래로 약 19.7 mm 길이
고음영을 보이고 있으며 일부 무음영의 공간도 있는데... 동맥 벽내 혈종? intramural hematoma
내막의 연속성은 잘 유지되어 보이는데...
직경으로는 약 50%까지
동맥 자체도 직경이 늘어났으며 내부로도 돌출된 결과이다.
내부로의 혈류를 나타내는 도플러는 관찰되지 않는다.
눌러보았을때의 단면의 모습이며 길이방향의 관찰과 달리 내막의 끊어짐이 (표면의 궤양?) 동반된 것으로 보인다.
갑자기 시작된 통증과 상기 소견에서 동맥경화가 아닌 동맥 벽내 혈종으로 판단하는데 무리가 없다.
검사후 혈압은 110/66으로 정상임을 확인
경동맥내 혈종으로 수년간 갑상선/경동맥 초음파를 하면서 처음 접하는 경우로 치료 혹은 관리 방법은?
대동맥 벽내 혈종에서는 위치에 따라 보존적 치료를 하기도 한다고 하지만...
Type B intramural hematoma: focus on reasons for development and overlapping clinical disease;
대동맥 벽내 혈종에 대한 내용
내경동맥 박리 (dissection) 의 경우도 내과적 치료에서 허혈성 (뇌경색) 증상이 있거나 진행한다면 endovascular treatment (혈관내 치료) 를 할 수 있지만 이외에는 보존적 치료
전문가적 경험에 의한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하여 상급병원 신경과로 진료 의뢰를 하였다. 갑상선 낭종에 출혈성 변화로 인한 통증, 상기 진료시 예시로 가능할 수 있다고 언급했던 경우 https://blog.naver.com/ejercicio/221466396728
대동맥 벽내 혈종에 대한 내용을 발취해보면
wall demonstrates mixed echogenicity; 초음파 음영은 저음영/고음영 섞여있는
predominantly echodense with scattered internal echolucencies; 주로 고음영이나 산재되어 있는 무음영 소견
no internal flow detectable; 내부 혈류의 흐름은 없으며
color flow Doppler interrogation important to differentiate from aortic dissection; 내부로 흐름이 있다면 대동맥 박리와의 감별점이 될 수 있다.
the true lumen of a dissection will demonstrate systolic flow
variable flow patterns may be present in a false lumen, which tends to expand in size during diastole
lack of an intimal (dissection) flap; 내막의 찢어짐이 없으며
the luminal surface in IMH tends to be smooth and continuous; 혈종의 내막쪽 표면은 부드럽고 연속적이다.
동대문구 답십리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건강검진 클리닉 내과 전문의 전병연
Comments